Surprise Me!

[세계를 보다]알리·테무 ‘조롱 밈’까지 등장…“저품질 제품 막아라”

2024-09-22 8 Dailymotion

<p></p><br /><br />[앵커]<br>알리와 테무같은 중국 온라인쇼핑 플랫폼은 초저가 마케팅을 무기로 전세계 시장을 공략 중입니다.<br><br>하지만 홍보 사진이나 설명과는 전혀 다른 물건이 오거나 짝퉁, 불량품도 많아서 문제가 되곤 합니다. <br><br>그러다 보니 이런 중국 쇼핑 플랫폼을 조롱하는 밈 영상까지 유행할 정도입니다.  <br><br>세계를 보다, 김민곤 기자입니다. <br><br>[기자]<br>자동차 후방카메라에 뒤차 모습이 가까이 잡히고, 경고음도 들립니다.  <br><br>하지만 실제 내려서 보니 차는 한참 멀리 있습니다. <br> <br>후방카메라는 중국 온라인쇼핑 플랫폼 테무에서 산 제품으로 보입니다.<br><br>카메라가 말이 안 될 정도로 불량이라고 비웃는 영국 밈 영상입니다. <br> <br>또 다른 영상. <br> <br>상자에서 카메라 렌즈를 꺼내 보여줍니다. <br><br>[현장음] <br>"알리에서 카메라 렌즈를 샀는데요, 좋아 보이네요." <br> <br>이곳저곳 살피는데, 사실은 렌즈 모양 텀블러입니다.  <br><br>[현장음] <br>"악!" <br> <br>"테무에서 베개를 샀을 때"라는 제목의 사진입니다  <br><br>폭신한 흰색 베개처럼 보이지만  피습당해 귀를 다친 트럼프 전 대통령이 붕대를 붙인 모습입니다. <br><br>배송 온 베개가 터무니없이 작다는 걸 표현한 겁니다. <br><br>다소 과장은 있지만 알리와 테무 같은 중국 온라인 쇼핑 플랫폼에서 물건을 샀다가 피해를 보는 일이 잇따르자, <br><br>이를 조롱하는 밈들이 공감을 얻은 겁니다.  <br><br>불량품을 산 사람들을 일컫는 신조어까지 나왔을 정도입니다.<br><br>당초 중국산 저가 제품은 자국내 저소득층을 타깃으로 만들어진 만큼, 품질에 중점을 두지는 않고 있습니다.<br><br>그런데 이런 제품들이 글로벌 플랫폼을 통해 수출되면서 문제가 불거진 건데요,  <br><br>제조사와 소비자가 직접 연결되는 방식으로 유통구조를 단순화하다보니 더욱 싸고 빠르게 퍼져나갈 수 있게 됐습니다.<br><br>EU는 중국산 저품질 제품의 급증을 막기 위해 관세 면제 조항 폐지를 검토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고, 미국 민주당 하원의원 26명은 바이든 대통령에게 서신을 보내 같은 요구사항을 전달했습니다.<br><br>[서용구 / 숙명여대 경영학과 교수] <br>"QC(품질관리)가 안 되는 제품들이 자연스레 섞일 수밖에 없는 구조다, 리스크에서 자유롭지 않다." <br> <br>우리나라 공정위는 허위광고에 해당되는지 조사를 진행하고, 관세청도 부정수입물품 유통 실태조사를 실시하는 등의 조치에 나선 상황.<br><br>알리 테무를 향한 세계 각국의 압박은 앞으로 더욱 거세질 전망입니다. <br><br>세계를 보다, 김민곤입니다. <br> <br>영상취재: 김기열 <br>영상편집: 석동은<br /><br /><br />김민곤 기자 imgone@ichannela.com

Buy Now on CodeCanyon